본문 바로가기

인천e배움캠퍼스/데이터 시각화

문제 풀이

728x90
728x90
Reporting Date: April. 06, 2025

데이터 시각화 문제 풀이(15문항)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목차

04 문제
08 문제
12 문제
전체 답안


 

 

 

01 문제

캔들리스 시각이해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 정보, 지식, 지혜를 시각적 표현으로 매핑한 것이다
데이터는 시각화와 연결된다
정보는 디자인과 연결된다
지식은 정의할 수 없는 것이다

 

더보기

 

답:

정의하기 어려운 것은 '지혜'이다.

지혜가 정의되지 않은 것으로서 인간의 경험이 본격적으로
개입되는 단계이면서 인위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지식은 정보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매핑(mapping)하는 단계로 충분히 정의 가능하다.


 

02 문제

시각화 디자인 중 한 장의 그래픽 메시지를 통해서
설득형 메시지를 위해 사용하는 시각화는
?

 데이터 시각화
 정보시각화
 인포그래픽
정보디자인

 

더보기

 

답:

인포그래픽은 설득이나 홍보 목적의 시각화로,
한 장의 그래픽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

1번 데이터 시각화
정량 데이터를 그래프나 차트로 표현하여
객관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초점이 있다.

2번 정보 시각화
비정량적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표현하며,
분석이나 탐색에 적합하다.

4번 정보디자인은 이 모든 시각화 기법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으로,
설득형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지칭하지는 않는다.


 

03 문제

벤프라이의 시각화 방법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획득
 선별
 마이닝
 성찰

 

더보기

 

답:

벤 프라이의 시각화 단계에는 포함되지 않는 개념으로,
일반적인 분석적 사고나 평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벤 프라이는 데이터 시각화 과정을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획득, 파싱, 필터, 마이닝, 표현, 정제, 상호작용의 7단계

1번 획득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로,
파일,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등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는 과정

2번 선별은 데이터를 걸러내고 정제하는 과정으로,
벤 프라이 방법론의 필터(Filter)에 해당한다.

3번 마이닝은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패턴이나
통계를 추출하는 단계로, 시각화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04 문제

다음 중 시간 시각화에 해당하지 않는 그래프는?

막대그래프
파이차트
누적막대그래프
점그래프

 

더보기

 

답:

각 항목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표현할 때 사용되며, 
시간의 흐름이나 변화를 표현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시각화 유형에는 시간, 분포, 관계, 비교, 공간 등이 있으며,
이 중 시간 시각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둔다.

보기 중 ① 막대그래프, ③ 누적 막대그래프, ④ 점 그래프는 모두
시간 축을 기준으로 값의 나열 및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시간 시각화에 해당한다.


 

05 문제

다음 중 디자인의 기본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색상은 구분/ 순서/ 비율 및 관습에 맞는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드에는 스타일이나 색체, 간격과 관련이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서체, 무게, 크기 등의 요소와 관련이 있다
 아이소타이프는 픽토그램과 다른 개념이다

 

더보기

 

답: 

스타일, 색채, 간격
타이포그래피와 밀접하게 연관된 요소이며,

그리드는 주로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배열 및 정렬에 사용되는 레이아웃 체계이다.

또한,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를 도와주며,
흔히 역피라미드 구조와 같은 레이아웃 원칙도 적용된다.

색상은 정보의 구분, 순서, 비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문화적 관습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타이포그래피는 서체의 선택,
글자의 무게(굵기), 크기, 정렬, 간격 등을 포함하며,
가독성과 시각적 전달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이소타이프는 정보를 시각적 기호로 표현한 것으로,
언어나 문자가 아닌 도식화된 그림(아이콘)을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이는 픽토그램과 유사하되, 보다 체계적이고
통계적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초점
을 둔 시각언어이다.


 

06 문제

다음 중 시각정보 디자인 7원칙 중 틀린 것은?

시각적 비교를 강화해야한다
인과관계를 제시하여야한다
공간순이 아닌 시간순으로 나열해야한다
정량적 자료의 정량성을 제거하면 안된다

 

더보기

 

답:

특히 시간 흐름이 중요한 데이터라도,

시간순이 아닌 공간적 배열을 통해
더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07 문제

다음 중 시각화 구현에서 인포그래픽스에 해당하는 예시가 아닌 것은?

Cognos Insight
iChart
Visualize
Visual.ly

 

더보기

 

답: 

IBM Cognos Insight는 시각화 플랫폼에 해당된다.

시각화 구현 방식에는 플랫폼 기반,
라이브러리 기반, 인포그래픽스 기반 서비스가 있으며,

이 중 인포그래픽스는 웹 기반의 템플릿 편집형 도구를 말하며
iChart, Visualize, Visual.ly 등이 해당된다.


 

08 문제

다음 중 공간분석 시각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글비즈, 샤이니 등의 방법으로 공간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구글 비즈는 지오 차트를 이용해서 지역별 공간분석을 시각화 할 수 있다
샤이니는 인터랙티브한 시각화를 만들 수 있다
샤이니는 웹 기반 시각화로, 웹 관련 지식이 필수적이다

 

더보기

 

답:

공간분석 시각화는 지리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으로,
Google Viz의 지오 차트나 RShiny와 같은 도구를 활용한다.

Google Viz는 지오 차트를 통해
지역별 데이터를 지도에 표시하고,

Shiny웹 관련 지식 없이도 R 코드로
인터랙티브한 시각화를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09 문제

다음 중 D3.js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자바스크립트 기반 객체 지향 언어이다
SVG 객체 기반으로 동작한다
시각화 구현 시 range()는 요소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함수이다
시각화 구현 시 transition()은 요소의 변화를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더보기

 

답:

D3.js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시각화 라이브러리로,
SVG 객체를 이용해 정밀한 벡터 시각화를 지원한다.

range()는 데이터 값을 화면의 위치 범위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함수로,
직접 요소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요소의 위치나 이동transform,
또는 attr("x", ...), attr("cx", ...)
등의 속성을 이용해 조정한다.


 

10 문제

시각화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데이터 획득은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필터링은 정제된 데이터를 보여줄 시각적 방법을 찾아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단계이다
파싱은 필요한 데이터와 필요없는 데이터를 구분해서 필요없는 데이터는 삭제하는 것이다
표현 및 상호작용은 파일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파싱하고, 가공하는 단계이다

 

더보기

 

답:

시각화를 위해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공공데이터, 웹에서 수집한 데이터, 또는 사내 데이터 등 다양한 출처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며,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지 판단하는 것도 포함된다.

파싱은 파일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파싱하고, 가공하는 단계이다.

필터링은 필요한 데이터와 필요없는 데이터를
구분해서 필요없는 데이터는 삭제하는 단계이다.

표현 및 상호작용은 정제된 데이터를 보여줄
시각적 방법을 찾아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단계이다.


 

11 문제

다음 중 버블차트와 같은 유형의 시각화 방법은?

히트맵
파이차트
점그래프
산점도

 

더보기

 

답: 

버블 차트는 관계 시각화에 속하는 대표적인 그래프로,

산점도처럼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추가적인 정보를 시각적으로 부여하는 점에서 유사하다.

히트맵은 값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이용해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주로 비교 시각화에 사용된다.

파이 차트는 전체 대비 부분의 비율을
원형으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분포 시각화에 해당한다.

점그래프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점으로 연결 및 비교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시간 시각화비교 시각화로 분류된다.


 

12 문제

 아래 그림이 어떤 시각화에 해당하는 지 적고,
 해당 그림의 정확한 명칭을 작성하여라.

예시 그림

 

더보기

 

지도상에 해당 정보를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은 공간 시각화에 해당된다.

지리적 단위로 데이터의 의미 차이를 강조하여
지리적 패턴이나 정보를 표시한 것은
 코러스 맵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위 그림의 색상은 실제 수치 데이터를 반영한 것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13 문제

자크베르탱의 그래픽 요소가 아닌 것은?


 위치
 차원
 기울기

 

더보기

 

답:

차원은 데이터의 속성이나 구조를 설명할 수는 있으나,
베르탱이 분류한 시각적 표현 방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자크 베르탱은 총 7가지 그래픽 요소를 제시했는데,
이는 위치, 크기, 모양, 색, 명도, 기울기, 질감 이다.


 

14 문제

아래는 줄기-잎 그래프이다.
해당 예시의 원본 데이터가 아닌 것은?

 13
 25
34
46

 

더보기

 

답:

46은 현재 원본 데이터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데이터이다.

각 행에 해당되는 원본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행: 12, 13 / 2행: 22, 25 / 3행: 34 36 37


 

 

15 문제

시각화플랫폼과 서비스가 잘못 연결된 것은?

 IBM코그노스 인사이트
 SASSAS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마이크로소프트 d3.js
 클릭테크 클릭뷰

 

더보기

 

답:

시각화를 구현하는 방식에는 크게
시각화 플랫폼, 시각화 라이브러리, 인포그래픽 도구 등이 있으며,
이 중 이번 문제는 시각화 플랫폼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d3.js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시각화 라이브러리로,
특정 기업 소속 플랫폼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파워 피벗(Power Pivot)
파워 뷰(Power View)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전체 답안


[출처] [HD]데이터분석전문가(ADP) 필기 - 데이터시각화


728x90
반응형

'인천e배움캠퍼스 > 데이터 시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화 구현  (0) 2025.04.06
시각화 디자인  (0) 2025.04.06
시각화 인사이트  (4) 2025.04.05